
중국 명절기간에 집중되는 폭죽놀이가 국내 초미세먼지 내 중금속 농도를 증가시킨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.
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달 평택성분측정소에서 중금속 실시간 분석기를 활용해 대기 중 중금속 농도를 측정한 결과, 중국 명절인 춘절(음력설ㆍ2월 5일)과 원소절(정월대보름ㆍ2월 19일) 이틀 후인 지난달 7일과 21일에 폭죽 연소산화물인 ▲스트론튬 ▲바륨 ▲칼륨 ▲마그네슘 등 4종의 중금속 농도가 매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.
중국 최대 명절인 춘절은 폭죽놀이가 이어져 이틀 후인 지난 7일 평택성분측정소에서 측정된 스트론튬 농도가 0.013㎍/㎥으로, 2월 평균인 0.001㎍/㎥의 무려 13배가량 높게 나왔다. 이어 바륨 농도는 0.075㎍/㎥로 2월 평균인 0.016㎍/㎥의 5배 가까운 수준에 달했으며, 칼륨과 마그네슘도 각각 1.068㎍/㎥, 0.170㎍/㎥으로 2월 평균인 0.265㎍/㎥, 0.045㎍/㎥의 4배 수준이었다.
이와 함께 중국 춘절에 이어 폭죽이 많이 터지는 원소절 이틀 후인 21일에도 4개 중금속 농도가 각각 스트론튬 0.005㎍/㎥, 바륨 0.035㎍/㎥, 칼륨 0.335㎍/㎥, 마그네슘 0.081㎍/㎥ 등으로 2월 평균의 2배~5배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.
스트론튬, 바륨, 칼륨, 마그네슘 등은 폭죽의 화려한 색을 내는 대표적인 금속물질이다. 폭죽놀이 후에는 이들 금속 성분의 대기 중 농도가 증가, 초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.
중국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춘절인 5일과 원소절인 19일 모두 97㎍/㎥로 2월 평균 57㎍/㎥의 1.7배 높았으며, 중국 선양의 초미세먼지 농도 또한 춘절 86㎍/㎥, 원소절 95㎍/㎥로 2월 평균 74㎍/㎥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.
도보건환경연구원은 ▲한국이 설 연휴기간에 불꽃놀이 행사를 하지 않는 점 ▲대부분의 공장이 휴업하는 점 ▲폭죽행사가 없는 평상시에 스트론튬ㆍ바륨 등의 농도가 크게 변하지 않는 점 ▲지난달 기류의 역궤적 분석 결과 등을 종합해 볼 때 4개 중금속 물질이 중국 상하이 및 베이징 부근과 동북지역에서 날아든 것으로 보고 있다.
최현호기자